본문 바로가기

SKT, 해외 로밍 중에도 유심보호서비스 확대 적용

smalman 2025. 5. 12.

5월 12일부터 해외에서도 유심 해킹 걱정 없이 안전하게


SK텔레콤이 2024년 5월 12일부터 해외 로밍 고객에게도 유심보호서비스를 전면 적용하는 업그레이드를 시행했습니다.
기존에는 해외에서 해당 서비스 이용이 제한돼 보안에 취약점이 있었으나,
이번 조치로 국내와 동일한 보안 수준이 전 세계 어디서나 제공됩니다.
유심 해킹 피해 방지와 고객 정보 보호 강화를 위한 핵심 전략 중 하나입니다.


유심보호서비스란? 단말기와 유심을 묶어 해킹 차단

유심보호서비스는 고객의 단말 정보와 유심 정보를 연동하여 고정시키는 보안 기능입니다.
이로 인해 해커가 유심 정보를 탈취하더라도 다른 기기에서 인증·접속을 할 수 없습니다.
즉, 유심 복제·탈취·변조 시도를 시스템이 자동으로 차단하게 됩니다.

기존 유심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데이터 백업, 인증서 이동 등의 번거로운 절차 없이도 보안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해외 로밍 고객 대상 확대 적용, 핵심은 ‘자동 가입’

이번 서비스 확대의 핵심은
해외에 있는 고객도 자동으로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된다는 점입니다.

적용 대상방식비고
기존 가입자 자동 업그레이드 별도 조치 없음
미가입자 (해외 체류 중) 5월 12~14일 순차 자동 가입 고객 알림 예정
 

해외에서 통신 서비스를 이용 중인 고객이라면
로밍 중 해킹이나 불법 기기 변경 시도에도 시스템이 즉시 차단하게 됩니다.


FDS 시스템 적용, 해외에서도 이상 접속 실시간 감지

이번 서비스는 국내 보안 시스템 수준 그대로 해외에도 적용된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비정상 단말 인증 탐지(FDS: Fraud Detection System)가 적용되어,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자동 차단이 작동합니다.

"해외 유심보호 차단 예시"

상황조치
타 단말기에서 기존 유심으로 인증 시도 인증 차단, 경고 알림
분실 단말에서 위치 이동 시 접속 위치 이탈 감지 후 접속 제한
무단 유심 교체 후 재인증 시도 서비스 접근 자동 중단
 

이 시스템 덕분에 해외에서도 해커가 유심만으로 접속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해졌습니다.


고객 정보 보호, 글로벌 기준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

이번 조치를 통해 SK텔레콤은
해외 체류자, 여행자, 주재원 등에게도 유심 해킹 위험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는 대책을 제공하게 됩니다.
특히 최근 발생한 유심 해킹 사태 이후 신뢰 회복과 보안 대책 강화의 연장선으로
통신사 차원의 고객 보호 의지와 기술력 확보를 보여준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국내든 해외든, 내 유심은 더 이상 무방비 상태가 아니다.”


결론, 해외에서도 안심 통신 가능…서비스 접근은 자동으로

이번 업그레이드로 인해


해외 체류 중인 고객들도 별도 절차 없이 유심보호서비스의 강화된 기능을 즉시 누릴 수 있게 됐습니다.
신규 가입자는 자동 등록되며, 기존 고객은 업그레이드 처리됩니다.
따라서 별도로 설정하거나 앱을 통해 등록할 필요 없이,
5월 14일까지 순차 적용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보호 대상이 됩니다.

"통신 환경이 글로벌해지는 만큼, 보안도 글로벌 수준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SKT는 이번 조치를 통해 통신 보안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댓글